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글쓰기도 훈련이 되나요? 요즘 뜨는 글쓰기훈련은?

by 해피쉬리 2025. 7. 23.

요즘시대에 맞는 글쓰기 훈련은 무엇이 있을까요?(습관, 실전 연습, 창작능력)


글을 잘 쓰는 능력은 타고나는 것일까요?

아니면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키워내는 능력일까요?

아마도 끊임없는 노력으로 향상될 수 있다고 하겠지만, 타고난 필력? 감?을 갖추어야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는 없을것 같아요.

그래도 꾸준히 글쓰기 습관을 만들면 좋은 글을 충분히 쓸 수 있는 창작의 자유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요즘 시대에 맞는 글쓰기 훈련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습관이 만든다, 꾸준함의 힘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요. 공부를 잘 하는 방법이 어느정도는 엉덩이 힘이라고 하지요. 글쓰기도 마찬가지인것 같습니다. 꾸준히 ‘글쓰기 습관’을 만들면 글쓰기 능력을 조금씩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드는 것입니다.

언젠가 어떤 작가의 이야기를 들을 적이 있습니다.  매일 아침 출근하듯이 옷을 갖추어입고 글 쓰는 방으로 출근하고, 퇴근시간에는 글쓰는 방에서 퇴근을 한다. 하루에 10분~20분이라도 지속적으로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면 필력이 향상된다고 합니다. 문장력, 표현력, 구성력이 길러지며 생각을 정리하는 힘도 커진다고 합니다.

글쓰기 습관은 처음에는 어렵지만, 기분좋은 나만의 루틴으로 만들 수 있다면 스트레스가 아닌 즐거운 창작의 시간이 될 수 있지않을까요? SNS 홍수의 시대에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종류의 글을 쓰기에도 아주 좋은 세상을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쓸까’에 대한 고민보다 ‘오늘도 썼다’는 성취감이 우리를 한뼘 성장하게 만들것입니다. 혼자서가 힘들다면 챌린지 등을 통해 함께 하는 힘을 기르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2. 실전으로 배우는 글쓰기 연습

글쓰기에 관련된 책을 수십만권 읽기만 한다면 글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까요?  눈으로만 읽는 다면 실력이 늘지 않겠지요?

직접 직접 써보고, 내 글을 읽어보고 수정도 해보고, 누군가에게 피드백을 받아보는 과정이 반복된다면 점점 나아지는 글쓰기가 되지않을까요?

실전 연습의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모방→응용→창작’의 3단계 방식입니다. 처음에는 좋은 글을 따라 써보며 구조와 문장을 익히고, 그다음에는 자기 이야기로 응용해 보며 표현을 연습하고, 마지막에는 완전히 자기 글을 써보는 것이죠.

블로그 글쓰기, 온라인 글쓰기 클래스, 독서 후 감상문 작성, 타인의 글에 댓글을 달아보는 등의 활동은 모두 실전 감각을 기르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특히 주제를 스스로 정하고 한 편의 완결된 글을 작성하는 것은 구조적 사고와 논리적 연결을 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전 연습을 계속하다 보면 ‘어떤 글을 써야 할지 막막하다’는 두려움도 점점 사라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짧고 단순한 글부터 시작해 점점 글의 길이나 주제를 확장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피드백하는 습관, 혹은 글쓰기 모임을 통해 타인의 의견을 듣는 과정도 실력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는 실전 훈련 중 하나입니다.


3. 창작능력, 감각보다 훈련이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지요? 창작은 감각이 아니라 훈련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창작은 영감에서 시작된다고 오해하지만, 실상은 평소의 관찰력과 아이디어 수집,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는 반복 훈련에서 나옵니다. 창작능력은 단순히 상상하는 힘이 아니라, 떠오른 아이디어를 어떻게 글로 구조화하고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선 평소 ‘아이디어 노트’를 만들어 자주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하고, 그것을 키워나가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다양한 글쓰기 형식을 시도해보는 것이 창작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에세이, 시, 짧은 소설, 설명문, 인터뷰 형식 글쓰기 등을 번갈아 해보면 표현의 폭이 넓어지고 창작에 대한 부담도 줄어듭니다.

또한 다양한 경험을 글로 전환해보는 훈련도 필요합니다. 여행기, 일상 이야기, 대화 속 깨달음, 뉴스에 대한 의견 등 일상의 다양한 순간들을 글로 풀어내며 창작의 재료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창작이란 거창한 일이 아니라, ‘표현해보는 훈련’이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입니다.


글쓰기는 꾸준한 훈련으로 누구나 발전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는 절대 ‘감’만으로 해결되는 일이 아닙니다. 습관을 들이고, 실전에서 부딪히며, 창작을 위한 훈련을 반복하는 사람에게 글쓰기는 점점 쉬워지고 자연스러워집니다. 매일 조금씩 연습하고, 다양한 시도를 하며, 피드백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당신도 충분히 멋진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단 한 줄이라도 써보는 것은 어떨까요?